45일차 - 레위기 1장-3장 | 운영자 | 2025-02-13 | |||
|
|||||
본 영상의 사이즈와 화질은 500kbps, 중간화질입니다. 영상은 업로드 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45일차 (레 1-3장) *주제 : 제사에 대한 정보 *Reading Guide 1. 레위기 위치 - 읽기 순서 우리는 지금까지 창세기 출애굽기 민수기까지를 읽었습니다. 우리는 보통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읽었는데, 그게 아니라 1년 1독 걸어서 성경속으로는 역사와 시간순서대로 창줄민 해서 요단동편까지 와서 서 있는것입니다. 시간이 흐르는 순서대로 읽었습니다. 광야 2세대가 가나안땅에 들어가려고 하는 찰라에 있습니다.
이런상황에 안읽은게 레위기와
신명기인데 지금 읽자는 겁니다. 광야 1세대는 다 죽었으니까
광야 2세대는 율법을 잘 모르니까 가나안땅에 들어갈 것을 염두해 두고 그땅에 들어가서 알아야할 내용을
읽습니다. 왜 여기서 레위기와 신명기를 읽어야 되는지 이해하셨죠~ 오늘은
레위기 1장에서 3장까지 범위입니다. 2. 레위기에 대한 오해 레위기는 구약성경 가운데 성경 전체 가운데 가장 많은 오해가 있는 책입니다. 첫번째 오해가 뭐냐면 어렵다는 것입니다. 사실 진짜 어렵습니다. 그런데 왜 어려운지 알면 쉽습니다. 레위기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레위기에 나오는 단어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레위기에 나오는 개념과 제사와 절기와 모든 절차들을 오늘날 사용하는 교회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레위기에 나오는 단어들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그 개념을 알면 쉽습니다.
두번째 오해가 있다면 그게 오늘날 나와 무슨 상관이 있냐는 것입니다. 이미 예수님이 다 성취하셨고, 완성하셨고 제사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다 완성이 되었고 절기와 안식일과 정결예법이 나오지만 그 모든 것이 다 폐지 됐는데 그게 오늘날 나와 무슨 상관이 있냐는 거에요.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율범을
폐하러 온것이 아니라 완성하러오셨다고 하셨습니다.무엇을 완성하셨는가?
구약 성경에는 613가지 율법이 나옵니다. 그중에
247개가 레위기에 나옵니다. 율법이 가장 많이 나오는 책이
레위기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어떤 율법을 성취하셨는지는 레위기를 봐야만 알수가 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과 사역을 푸는 열쇠는 레위기에 있습니다.
3.레위기의 중요성 레위기를 이해해야만 모세오경을 이해하고 모세오경을 이해해야만 선지서와 역사를 이해하고 복음서와 히브리서와 요한계시록을 이해하기 때문에 사실은 레위기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유대인들은 모세오경중에 레위기를 가장 먼저 암송합니다. 1년 1독 걸어서 성경속으로!는 성경을 읽기 전 짧지만 제가 설명하는 부분을 통해 그날 그날 레위기를 읽는 개념을 생각하시면서 읽으신다면 좀더 쉽게 읽으실 수 있을것입니다. 레위기는 하나님이 모세를 회막, 즉 성막으로 부르셔서 어떻게 레위인들이 이 성막에서 섬겨야 하는지, 레위인들이 해야 할 일들은 무엇인지 가르쳐 주신 일종의 제사장 지침서입니다. 4.레위기의 구조와 5대 제사 레위기는 크게 두 파트로 나누어지는데, 1장부터 10장은
거룩하신 하나님께 나아가는 법, 즉 제사에 관련된 내용이라면, 11장부터 27장은 거룩한 백성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보여줍니다.
레위기 1장에서 7장까지가 레위기 5대
제사는 드리는 목적에 따라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가 나오는데 1장에서 5장은 백성에게 주신 것이고, 6장에서 7장은 제사장에게 주신 것입니다. 오늘 읽으실 레위기 1-3장에는 번제와 소제, 그리고 화목제가 나옵니다.
번제는 죽기까지 하나님께 순종하신 예수님의 헌신을, 소제 - 곡식 제사는 흠 없는 예수님의 섬김을, 화목제는 십자가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막힌 담을 허무시고 평화를 이루신 것을 보여줍니다.
레위기 제사는 자신의
죄를 제물에 전가하여 죽이고,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뜨고, 머리와 기름을 떼어내고,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고 나면 제사장이
그 짐승의 피를 제단에 뿌리고 제단 위에서 태웁니다. 제사를 드리는 방식은 불로 태워 드리는 화제, 높이 들어 올리는 거제, 흔들어 바치는 요제, 액체로 부어 드리는 전제로 드리게 됩니다. 이런 제사를 드림으로
자신의 죄를 인식하고 회개하며 용서를 받음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이어갔습니다.
5.레위기 제사와 예수 그리스도 이 모든 제사법은 하나님이
가르쳐 주신 대로 순종해야 했습니다. 내 방식이 아닌 하나님의 방식에 순종함으로 제사를 드려야 합니다. 구약의 제사는 매번 흠 없는 짐승의 피 제사로 나아갔지만, 사실
이것은 앞으로 우리 죄값을 치르기 위해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예표하는 것입니다.
레위기의 동물 제사가 없었다면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십자가가 번제단이라면, 그 위에 재물로 올라가신 분이 예수님이십니다. 히브리서 10장 12절 말씀: “그리스도께서는
죄를 사하시려 단 한 번에 영원히 유효한 제사를 드리신 후에 하나님 오른쪽에 앉으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모든 제사를 단 한 번에 영원히 유효한 제사로 드셨으니, 제사로 하나님 앞에 나아갈 필요가 없습니다. 제사 대신에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의지하여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를 드립니다. 오늘 레위기 제사를 통해 십자가에서 보혈을 흘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댓글 0